프론트엔드

[FE] 자바스크립트 vs 타입스크립트: 차이점, 장단점 완벽 비교!

Newbie Developer 2025. 2. 3. 11:05

안녕하세요. 새내기 개발자입니다.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글로 틀린 부분은 언제나 댓글로 환영입니다!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는 웹 개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그래밍 언어이며, 타입스크립트(TypeScript)는 자바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한 정적 타입을 지원하는 언어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와 타입스크립트의 차이점, 장단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적절하게 사용해야 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1.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란?

**JavaScript(이하 JS)**는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대표적인 동적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
클라이언트(프론트엔드)와 서버(백엔드) 모두에서 사용되며, 인터프리터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 주요 특징

  • 동적 타입(Dynamically Typed)
  • 인터프리터 언어(코드가 실행될 때 해석됨)
  • 객체 기반(Object-Oriented) 및 함수형(Functional) 프로그래밍 지원
  • ES6+ 이후부터 class, arrow function, async/await 등의 문법이 추가됨
  • Node.js를 통해 서버 개발도 가능

📌 예제 코드 (JS)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console.log(add(10, 20));  // 30

🔹 2. 타입스크립트(TypeScript)란?

**TypeScript(이하 TS)**는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개발한 자바스크립트의 상위 집합(Superset) 언어로, 정적 타입(Static Type)을 지원합니다.

✅ 주요 특징

  • 정적 타입(Statically Typed) 지원 → 컴파일 타임에서 타입 체크 가능
  • 자바스크립트 문법을 포함하면서, 추가적인 기능 제공
  • 인터페이스(interface), 제네릭(generics), 열거형(enum) 등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OP) 지원 강화
  • 트랜스파일러(Transpiler)를 통해 TS → JS로 변환하여 실행
  • 코드 가독성 및 유지보수성 향상

📌 예제 코드 (TS)

function add(a: number, b: number): number {
    return a + b;
}

console.log(add(10, 20));  // 30

✔️ : number를 사용하여 매개변수와 반환값의 타입을 지정함 → 컴파일 시 타입 체크 가능



🔹 3. 자바스크립트와 타입스크립트의 차이점

비교 항목JavaScript(JS)TypeScript(TS)
타입 시스템동적 타입(Dynamic Type)정적 타입(Static Type)
컴파일 방식인터프리터(실행 시 해석)트랜스파일(컴파일 후 JS로 변환)
에러 감지 시점실행(Runtime) 시 발생컴파일 시점에서 에러 감지
OOP 지원ES6부터 class 지원interface, enum, generic 등 OOP 기능 강화
유지보수성코드가 길어질수록 관리 어려움코드 안정성이 높고 유지보수 용이
런타임 안정성타입 오류로 인한 버그 가능성 있음사전 타입 체크로 런타임 오류 방지 가능
실행 환경모든 브라우저에서 실행 가능JS로 변환 후 실행 가능

🔹 4.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장점과 단점

✅ 장점

간결함: 타입 선언이 필요 없어서 코드가 짧고 직관적
유연성: 변수의 타입이 실행 중 동적으로 변경 가능
브라우저 친화적: 별도의 컴파일 과정 없이 즉시 실행 가능
생태계가 크고 라이브러리 풍부: JS 기반 프레임워크(React, Vue, Node.js 등) 활용 가능

❌ 단점

타입 안정성이 부족 → 예상치 못한 타입 에러 발생 가능
런타임 오류가 많음 → 실행 중에야 에러를 발견 가능
코드 규모가 커질수록 유지보수 어려움


🔹 5. 타입스크립트(TypeScript)의 장점과 단점

✅ 장점

정적 타입 검사(Static Type Checking) → 컴파일 단계에서 타입 오류 발견 가능
코드 자동완성 및 가이드 강화 → 개발 생산성 증가 (VSCode의 IntelliSense 지원)
유지보수성이 뛰어남 → 규모가 큰 프로젝트에서 유용
ES6+ 최신 문법 지원 → 브라우저 호환성을 고려하면서 최신 문법 사용 가능

❌ 단점

초기 학습 비용 → 타입 시스템 및 인터페이스 사용법을 익혀야 함
트랜스파일 과정 필요 → JS로 변환 후 실행해야 함
JS보다 코드가 길어질 수 있음 → 타입 명시 필요


🔹 6. 자바스크립트 vs 타입스크립트, 언제 사용해야 할까?

✅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경우

  •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
  • 빠른 개발이 필요한 경우
  • 브라우저에서 직접 실행되는 간단한 스크립트

✅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는 경우

  • 대규모 프로젝트(협업, 유지보수 필요)
  • 타입 안정성이 중요한 경우(은행 시스템, AI 등)
  •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React, Vue) 기반의 기업 프로젝트
  • 백엔드(Node.js) API 개발 시

🔹 7. 결론: 자바스크립트 vs 타입스크립트,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 "빠른 개발 vs 안정성"

  • 빠르게 개발해야 하고 프로젝트 규모가 작다면?자바스크립트(JS)
  • 장기적으로 유지보수가 필요하고 안정성이 중요하다면?타입스크립트(TS)

💡 최근 추세
대규모 프로젝트에서는 타입 안정성과 유지보수성 때문에 타입스크립트가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React, Vue, Next.js, Express.js 같은 최신 웹 프레임워크에서도 TS 지원이 강화되고 있는 만큼, TS를 익혀두는 것이 유리합니다.
 
🚀 최종 정리
✔ 작은 프로젝트 → JS
✔ 대규모 프로젝트 → TS
✔ 협업이 필요하면 TS가 더 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