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6

쿠버네티스 Pod 완전 정복: 컨테이너

쿠버네티스를 공부하거나 사용하다 보면 가장 자주 접하게 되는 개념이 바로 Pod입니다. 이 글에서는 Pod란 무엇인가? 왜 필요한가? 어떻게 구성되고 동작하는가?를 예시와 함께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 1. Pod란 무엇인가?Pod는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작은 배포 단위입니다.하나 이상의 컨테이너가 함께 배포되고 실행되는 논리적인 호스팅 단위입니다. 보통은 하나의 컨테이너만 실행되지만, 특수한 경우 두 개 이상의 컨테이너가 함께 실행되기도 합니다. 이 때의 컨테이너는 하나의 프로세스를 협력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공유합니다.✅ 핵심 특징공유 네트워크 네임스페이스: 동일한 localhost, 동일한 포트를 공유합니다.공유 스토리지 볼륨: Pod 내 컨테이너들이 같은 볼륨을 마운트할 ..

클라우드 2025.06.16

MariaDB와 MaxScale로 구성하는 고가용성 데이터베이스 아키텍처

기업에서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의 핵심이며, 안정성과 확장성을 모두 만족해야 합니다.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인 MariaDB는 MySQL과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도 지속적인 개선과 커뮤니티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 여기에 MaxScale이라는 프록시 레이어를 함께 사용하면 고가용성(HA), 로드밸런싱, 보안 등의 측면에서 훨씬 강력한 구성으로 확장할 수 있습니다.✅ MariaDB란?MariaDB는 MySQL의 원 개발자들이 오라클의 인수 이후 MySQL의 오픈소스 철학을 지키기 위해 만든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입니다. MySQL과 호환되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습니다:완전한 오픈소스 라이선스 (GPL)MySQL과 호환되는 CLI, 드라이버, 쿼리 문법Galera Cluster, MaxScale 등 ..

ETC 2025.06.15

바이브 코딩(Vibe Coding): AI와 함께하는 새로운 개발 방식

개발 환경에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혼자 고민하고, 검색하고, 디버깅하는 것이 당연했지만, 이제는 AI가 함께 코딩하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이러한 변화를 상징하는 신개념 코딩 방식이 바로 "바이브 코딩(Vibe Coding)"입니다.🔍 바이브 코딩이란?바이브 코딩(Vibe Coding)은 AI 도구와 함께 협업하며 마치 ‘동료’와 대화하듯 코딩을 해나가는 방식입니다.코드 작성을 포함해, 리팩토링, 디버깅, 주석 작성, 문서화, 테스트 코드 생성까지 AI와 자연스럽게 대화하면서 작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름은 "Vibe"처럼 자연스럽고 유연한 흐름 속에서 몰입한다는 의미에서 파생되었고, 동시에 AI와의 상호작용이 인간적인 '바이브'를 만든다는 중의적 표현입니다.🛠️ 바이브 코딩..

ETC 2025.06.14

웹 성능 최적화, SEO, 접근성 가이드: 사용자와 검색엔진 모두를 위한 웹 만들기

“빠르고, 검색에 잘 노출되며,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웹사이트”는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현대 웹 개발에서 웹 성능, 검색 엔진 최적화(SEO), 접근성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요소입니다. 이 세 가지는 서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자 경험(UX)과 브랜드 신뢰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줍니다. 이번 글에서는 개발자 입장에서 실질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을 소개합니다.1. 웹 성능 최적화 (Web Performance Optimization)웹 성능은 사용자 이탈률, 전환율에 직결됩니다. 페이지 로딩이 1초 늦어질 때마다 이탈률은 증가합니다. 다음은 핵심 최적화 항목입니다.💡 실전 체크리스트항목설명이미지 최적화WebP 또는 AVIF 사용, 적절한 크기로 리사이징, lazy-loa..

ETC 2025.06.08

Model Context Protocol(MCP)란?

AI 모델의 문맥을 정의하는 새로운 인터페이스최근 AI 애플리케이션의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순히 프롬프트를 넘겨주는 방식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게 되었습니다.OpenAI를 비롯한 기업들이 AI 모델과의 상호작용을 더 구조적이고 명확하게 관리하기 위해 도입한 프로토콜, 그것이 바로 MCP(Model Context Protocol)입니다.이번 글에서는 MCP의 개념, 등장 배경, 동작 방식, 실전 활용 방법 등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MCP(Model Context Protocol)란?Model Context Protocol (MCP)은 AI 모델과 상호작용할 때 필요한 컨텍스트(context)를 정의하고 구성하는 표준화된 방법입니다.기존에는 프롬프트만 전달했다면, MCP는 여기에 역할(role), ..

ETC 2025.06.07

Pinia란 무엇인가요? – Vue 공식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소개

Vue 3의 공식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로 채택된 Pinia는 기존의 Vuex를 대체하거나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경량의 모던한 상태 관리 도구입니다. Vuex보다 더 직관적이고, TypeScript와의 궁합이 좋으며, 학습 곡선도 완만하다는 장점 덕분에 많은 Vue 개발자들이 Pinia로 빠르게 전환하고 있습니다.1. Pinia의 탄생 배경Vue 2 시절의 대표 상태 관리 도구는 Vuex였습니다. 하지만 Vuex는 Boilerplate가 많고 TypeScript 지원이 미흡해 유지보수가 어려웠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Vue 팀은 Composition API와 더 잘 어울리는 상태 관리 도구를 고민했고, 그 결과가 바로 Pinia입니다.💡 Pinia는 pineapple(파인애플)의 줄임말처럼 들리지만, 실..

프론트엔드 2025.05.09

디자인 패턴 :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때 하나의 인스턴스만 존재해야 하는 객체가 필요할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설정값을 저장하는 Config 객체, 로그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연결 등은 여러 개의 인스턴스를 만들기보다 전역에서 하나만 존재해야 더 효율적입니다.이런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디자인 패턴이 바로 싱글톤 패턴(Singleton Pattern) 입니다.🔍 싱글톤 패턴이란?싱글톤 패턴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오직 하나만 생성하고, 어디서든 그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전역적인 접근 지점을 제공하는 생성 패턴입니다.쉽게 말해, 프로그램 전체에서 단 하나만 존재해야 하는 객체를 보장하는 패턴입니다.📦 언제 사용하나요?설정 정보(Config)나 환경값을 어디서나 접근해야 할 때로깅 시스템, 캐시, 데이터베..

백엔드 2025.05.08

디자인 패턴 : 어댑터 패턴(Adapter Pattern)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이미 만들어진 코드(라이브러리, 시스템, 클래스 등) 와 새로운 코드 사이에 인터페이스가 맞지 않아 바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가 자주 생깁니다. 이럴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패턴이 바로 어댑터 패턴(Adapter Pattern) 입니다.🔧 어댑터 패턴이란?어댑터 패턴(Adapter Pattern) 은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가진 클래스들이 같은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중간에 어댑터(Adapter)를 끼워 맞추는 구조적 디자인 패턴입니다.쉽게 말해, 전원 콘센트 어댑터처럼 두 시스템 간의 호환성을 맞춰주는 역할을 합니다.👨‍💻 언제 사용하나요?기존 클래스를 변경하지 않고 새 시스템에 맞춰 사용해야 할 때라이브러리나 외부 API와 내부 로직 간 인터페이스가 다를 ..

백엔드 2025.05.06

트랜잭션이란 무엇이고, ACID는 무엇인가요?

데이터베이스나 분산 시스템을 다루는 개발자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트랜잭션(Transaction)과 ACID입니다. 이 글에서는 트랜잭션이 무엇인지, 그리고 트랜잭션을 안전하게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가 지켜야 할 ACID 특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트랜잭션은 하나의 작업 단위(Unit of Work)입니다. 여러 개의 작업을 하나로 묶어서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해야만 하는 연산 단위를 의미합니다.예를 들어 은행에서 A 계좌에서 B 계좌로 돈을 이체할 때,A 계좌의 잔액을 감소시키고B 계좌의 잔액을 증가시키는이 두 작업은 하나의 트랜잭션입니다. 하나만 성공하고 다른 하나가 실패하면 데이터 일관성이 깨지기 때문이죠.즉, 트랜잭션은 다음..

백엔드 2025.05.06

Git Merge vs Rebase: 협업을 위한 브랜치 전략의 이해

버전 관리를 위해 Git을 사용할 때 가장 자주 마주치는 개념 중 하나가 바로 merge와 rebase입니다. 두 커맨드는 모두 브랜치를 통합할 때 사용되지만, 내부 동작과 결과물은 상당히 다릅니다.이번 글에서는 git merge와 git rebase의 차이점과 각 방식의 장단점, 그리고 협업 시 어떤 전략이 적합한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기본 개념✅ Git Merge란?merge는 두 개의 브랜치를 통합하는 방식입니다. 병합 과정에서 공통 조상(commit)을 기준으로 새로운 병합 커밋(merge commit)이 생성됩니다.git checkout maingit merge feature-branch 결과: main 브랜치에 feature-branch의 변경사항이 병합되고, 새로운 커밋 하나가 생성됩..

ETC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