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자바/JAVA] JPA(Java Persistence API) 개념 정리🚀

Newbie Developer 2025. 2. 2. 13:32

안녕하세요. 새내기 개발자입니다.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글로 틀린 부분은 언제나 댓글로 환영입니다!

📌 JPA란 무엇인가?

**JPA(Java Persistence API)**는 자바 애플리케이션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를 객체 지향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입니다. SQL을 직접 작성하는 대신, 자바 객체(Entity)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간의 매핑을 통해 데이터 저장 및 조회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1️⃣ JPA의 핵심 개념

🔹 1.1 ORM(Object-Relational Mapping) 이란?

JPA는 ORM(Object-Relational Mapping) 기술의 한 종류입니다.
ORM이란? 객체(Object)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elational Database) 간의 불일치를 해결하는 기술로, SQL 대신 객체 지향 코드로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 1.2 JPA의 주요 기능

  • 객체와 테이블 매핑(@Entity, @Table)
  • SQL 대신 메서드로 데이터 조작 (@Query, JPQL 사용 가능)
  • 자동 변경 감지(Dirty Checking) 및 트랜잭션 관리
  • 지연 로딩(Lazy Loading) 및 즉시 로딩(Eager Loading)

2️⃣ JPA 설정 및 사용 방법

🔹 2.1 JPA 설정 (Spring Boot 기준)

Spring Boot 환경에서는 spring-boot-starter-data-jpa를 추가하면 JPA를 쉽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 Gradle 의존성 추가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runtimeOnly 'com.mysql:mysql-connector-j'
}

📌 application.properties (MySQL 설정 예시)

spring.datasource.url=jdbc:mysql://localhost:3306/mydb
spring.datasource.username=root
spring.datasource.password=1234
spring.jpa.hibernate.ddl-auto=update  # 스키마 자동 업데이트
spring.jpa.show-sql=true  # 실행되는 SQL 출력
spring.jpa.properties.hibernate.format_sql=true  # SQL 가독성 개선

3️⃣ JPA 엔티티(Entity) 매핑

🔹 3.1 기본 엔티티 매핑

JPA에서 **Entity(엔티티)**는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매핑되는 클래스입니다.
아래는 User 테이블을 엔티티로 매핑하는 예제입니다.

import jakarta.persistence.*;

@Entity  // 엔티티 선언
@Table(name = "users")  // 매핑할 테이블명 지정
public class User {

    @Id  // 기본 키 (Primary Key)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 자동 증가
    private Long id;

    @Column(nullable = false, length = 50)  // NOT NULL 및 길이 제한 설정
    private String name;

    @Column(unique = true)  // 유니크 제약 조건 설정
    private String email;
}

4️⃣ JPA 기본 CRUD 예제 (Repository 활용)

Spring Data JPA를 사용하면 별도의 SQL 작성 없이 CRUD 기능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 4.1 Repository 인터페이스 생성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User findByEmail(String email);  // 이메일로 유저 조회
}

🔹 4.2 서비스(Service) 계층에서 사용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Service
@Transactional
public class UserService {
    private fin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ublic UserService(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this.userRepository = userRepository;
    }

    public User saveUser(User user) {
        return userRepository.save(user);
    }

    public User getUserByEmail(String email) {
        return userRepository.findByEmail(email);
    }
}

🔹 4.3 컨트롤러(Controller)에서 사용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users")
public class UserController {
    private final UserService userService;

    public UserController(UserService userService) {
        this.userService = userService;
    }

    @PostMapping
    public User createUser(@RequestBody User user) {
        return userService.saveUser(user);
    }

    @GetMapping("/{email}")
    public User getUser(@PathVariable String email) {
        return userService.getUserByEmail(email);
    }
}

5️⃣ JPA의 주요 기능

🔹 5.1 JPQL (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

JPA에서는 SQL 대신 **JPQL(Java Persistence Query Language)**을 사용하여 객체 지향적인 쿼리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Query;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repository.query.Param;

public interface Us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User, Long> {
    
    @Query("SELECT u FROM User u WHERE u.name = :name")
    User findByName(@Param("name") String name);
}

📌 SQL vs JPQL 비교

-- 일반 SQL
SELECT * FROM users WHERE name = 'John';

-- JPQL (객체 기준)
SELECT u FROM User u WHERE u.name = 'John';

🔹 5.2 연관관계 매핑 (1:N, N:M)

JPA는 객체 간의 관계를 테이블에 자동으로 매핑해 줍니다.

1:N (One-to-Many) 관계 예제

@Entity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OneToMany(mappedBy = "user")  // User가 여러 개의 Order를 가짐
    private List<Order> orders = new ArrayList<>();
}
@Entity
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product;

    @ManyToOne
    @JoinColumn(name = "user_id")  // 외래 키(FK) 설정
    private User user;
}

6️⃣ JPA의 장점과 단점

장점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아도 데이터 조작 가능
객체 지향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 조작 가능
트랜잭션 관리 및 자동 변경 감지 지원
지연 로딩(Lazy Loading)으로 성능 최적화 가능

단점

복잡한 쿼리는 SQL보다 성능이 떨어질 수 있음
자동 매핑된 쿼리를 최적화해야 함 (N+1 문제 발생 가능)
학습 비용이 필요함


7️⃣ JPA 사용 시 주의할 점 (N+1 문제 해결)

JPA의 Lazy Loading(지연 로딩) 때문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성능 문제 중 하나가 N+1 문제입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Fetch Join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N+1 문제 해결 예제 (Fetch Join 사용)

@Query("SELECT u FROM User u JOIN FETCH u.orders WHERE u.id = :id")
User findUserWithOrders(@Param("id") Long id);

N+1 문제에 대해서는 다음에 더 정리해서 오겠습니다!


🔥 결론: JPA를 언제 사용해야 할까?

✔ SQL을 직접 다루는 JDBC보다 코드 가독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용이
데이터베이스 종속성을 줄이고 싶을 때 유용
복잡한 데이터 관계가 있는 프로젝트에서 활용 가치가 높음
✔ 하지만 **쿼리 최적화(N+1 문제 해결)**는 반드시 고려해야 함

🚀 JPA는 강력한 ORM 기술이지만, 성능 최적화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는 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