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6

[FE] 호이스팅(Hoisting) 개념과 동작 방식 정리

안녕하세요. 새내기 개발자입니다.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글로 틀린 부분은 언제나 댓글로 환영입니다!1. 호이스팅(Hoisting)이란?호이스팅(Hoisting)이란 JavaScript에서 변수와 함수 선언이 코드 실행 전에 메모리에 저장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즉, 선언된 변수와 함수가 코드의 상단으로 끌어올려지는 것처럼 동작합니다.하지만, 실제로 코드가 이동하는 것은 아니며, JavaScript 엔진이 실행 전에 변수와 함수의 선언을 먼저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2. 변수 호이스팅var 키워드의 호이스팅var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선언만 호이스팅되고, 할당된 값은 호이스팅되지 않습니다.console.log(name); // undefinedvar name = "John";..

프론트엔드 2025.02.09

[자바/JAVA] Null Pointer Exception (NPE)

Java 개발을 하면서 가장 흔히 접하는 예외 중 하나가 바로 **Null Pointer Exception (NP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NPE의 개념, 원인, 예제, 해결 방법, 그리고 방지하는 방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1. Null Pointer Exception이란?**Null Pointer Exception (NPE)**은 Java에서 null 값을 참조하려고 할 때 발생하는 런타임 예외입니다. 즉, null인 객체에 대해 메서드를 호출하거나 필드에 접근하려고 하면 NullPointerException이 발생합니다.NPE는 java.lang.NullPointerException 클래스를 통해 제공되며, 체크 예외(Checked Exception)가 아닌 **런타임 예외(Runtime E..

백엔드 2025.02.08

[자바/JAVA] 자바 스프링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새내기 개발자입니다.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글로 틀린 부분은 언제나 댓글로 환영입니다!1. AOP란?AOP(Aspect-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는 공통 관심 사항(cross-cutting concerns) 을 분리하여 모듈화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스프링 AOP는 주로 로그, 트랜잭션, 보안, 예외 처리 같은 공통적인 기능을 분리하여 관리할 때 사용됩니다.기존의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에서는 관심사(비즈니스 로직) 와 공통 기능(로깅, 보안 등) 이 뒤섞이기 쉬운데, AOP를 사용하면 핵심 로직과 공통 기능을 분리할 수 있습니다.2. AOP 핵심 개념🎯 Aspect(애스펙트)공통 기능을 정의하는 모듈입니다.예를 들어, 로깅 기능을 @Aspect로 ..

백엔드 2025.02.08

CI/CD란? 지속적 통합 및 지속적 배포의 모든 것

1. CI/CD 개요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or Continuous Delivery)는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빠르고 안정적인 소프트웨어 배포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DevOps 개념입니다.CI(Continuous Integration, 지속적 통합): 개발자가 변경한 코드를 정기적으로 통합하여 자동 빌드 및 테스트를 수행하는 프로세스입니다.CD(Continuous Deployment/Delivery, 지속적 배포/전달): 검증된 코드를 자동으로 운영 환경에 배포(Continuous Deployment)하거나, 운영 배포 직전까지 자동화(Continuous Delivery)하는 프로세스입니다.CI/CD를 통해 개발과 배포 과..

ETC 2025.02.08

[클라우드] Dockerfile 개념 정리 가이드

안녕하세요. 새내기 개발자입니다.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글로 틀린 부분은 언제나 댓글로 환영입니다! Dockerfile은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설정 파일입니다.이 파일을 사용하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환경을 코드로 정의하고, 쉽게 배포할 수 있습니다.오늘은 Dockerfile이 무엇인지, 그리고 효율적으로 작성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Dockerfile이란?Dockerfile은 컨테이너 이미지의 청사진 역할을 합니다.예를 들어, 우리가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하려면 OS, 라이브러리, 실행 파일 등이 필요하죠?이 모든 환경을 코드로 정의하면, 누구나 동일한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Dockerfile을 사용하면✔️ 개발 환경이 일관되게 유지됨✔️ 애플리케이션 배포가..

클라우드 2025.02.07

개발자 이력서 작성 가이드: 필수 항목과 효과적인 작성법

안녕하세요. 늅입니다. 개발자로 취업하거나 이직을 준비할 때, 좋은 이력서(Resume)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력서는 단순한 경력 목록이 아니라, 자신의 기술 역량과 경험을 효과적으로 어필하는 마케팅 자료라고 볼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개발자 이력서에 반드시 포함해야 할 항목과 효과적인 작성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기본 정보 (Personal Information)이력서 상단에는 기본적인 개인 정보를 명확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필수 포함 항목이름: 한글 및 영문 이름(해외 취업을 고려한다면 영문 이름 추가)연락처: 이메일, 전화번호GitHub / 포트폴리오 / 블로그: 개발 경험을 보여줄 수 있는 링크LinkedIn (선택사항): 경력을 관리하고 있다면 추가❌ 불필요한 항목주민등록번호..

ETC 2025.02.07

[FE] Vue.js에서 i18n 국제화 설정 가이드

안녕하세요. 늅입니다. Vue.js로 글로벌한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것이 다국어 지원(i18n, Internationalization) 입니다.Vue에서는 vue-i18n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다국어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Vue 3에서 vue-i18n을 활용하여 다국어 지원을 구현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겠습니다.1. vue-i18n 설치 및 설정Vue 프로젝트에서 vue-i18n을 사용하려면 먼저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npm install vue-i18n설치 후, 국제화 관련 설정을 진행해야 합니다.1.1 i18n.js 파일 생성src 폴더 내에 i18n.js 파일을 생성하여 다국어 설정을 관리합니다.import { createI18n }..

프론트엔드 2025.02.06

사용자 역할(Role)과 권한(Permission)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뉴비개발자입니다. 기업이나 서비스에서 사용자 관리 시스템을 운영할 때 "역할(Role)"과 "권한(Permission)" 개념이 자주 등장합니다. 하지만 이 둘의 차이를 명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역할과 권한의 개념을 쉽게 정리하고, 효과적인 접근 제어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 1. 역할(Role)과 권한(Permission)이란?✅ 역할(Role)이란?역할(Role) 은 사용자가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집합을 의미합니다.일반적으로 역할을 설정할 때는 조직의 구조나 사용자의 직책을 기반으로 정의합니다.예를 들어:관리자(Admin): 모든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는 역할개발자(Developer): 코드 배포 및 테스트 실행 권한 보유운영자(Ope..

ETC 2025.02.06

[Linux] 리눅스 기본 명령어 모음

안녕하세요. 새내기 개발자입니다. 공부하면서 정리하는 글로 틀린 부분은 언제나 댓글로 환영입니다! 리눅스는 강력한 커맨드라인 인터페이스(CLI)를 제공하며, 다양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리눅스를 처음 접하는 사용자부터 실무에서 활용하는 개발자까지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본적인 리눅스 명령어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1. 시스템 정보 확인 명령어1.1 현재 로그인된 사용자 확인whoami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계정을 출력합니다.1.2 시스템 정보 확인uname -a운영체제, 커널 버전 등의 시스템 정보를 출력합니다.1.3 CPU 및 메모리 사용량 확인top실시간으로 CPU와 메모리 사용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종료하려면 q를 누릅니다.htop​보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

ETC 2025.02.06

[FE] Storybook을 활용한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개발

안녕하세요. 뉴비 블로거입니다. 오늘의 글은 storybook 입니다.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UI 컴포넌트의 재사용성과 테스트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방법 중 하나는 Storybook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Storybook은 독립적인 환경에서 UI 컴포넌트를 개발, 문서화 및 테스트할 수 있도록 돕는 도구입니다.이 글에서는 Storybook의 개념, 주요 기능, 설치 및 사용 방법, 그리고 활용 팁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Storybook이란?Storybook은 UI 컴포넌트를 독립적으로 개발하고 문서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발 도구입니다. React, Vue, Angular 등 다양한 프레임워크를 지원하며, 컴포넌트를 개발하면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변경 사항을 즉시 반영할 수 있습니다.🎯 Story..

프론트엔드 2025.02.05